728x90
docker run
명령어는 docker create
와 start
가 합쳐진 명령어입니다.
실행 상태에서 docker restart
를 하면 프로세스를 재식작할 수 있습니다.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종료나 재시작 신호를 보내면 10초 뒤에 이 신호가 동작하게 됩니다.
docker pause
: 컨테이너에서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가 일시 중지된 상태입니다.
- 현재의 상태를 모두 메모리에 저장해 두는 것 = CPU는 사용하지 않고 메모리만 사용합니다.
docker unpause
: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한 시점으로 재시작 가능합니다.
docker start
: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모두 종료되었고 다시 시작하면 CPU 및 모든 리소스가 처음 부터 재식작합니다.
컨테이너는 모든 상태에서 rm
명령을 사용해서 삭제할 수 있습니다.
대신 실행중인 컨테이너는 rm -f
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.
그럼 실습에 필요한 컨테이너를 실행해봅니다.
docker run devwikirepo/tencounter
1회성 컨테이너로 10초의 카운터를 세고 종료상태로 변환됩니다.
- 이미지가 없는 상태에서
docker run
명령어로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이미지를 다운 받고 -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.
docker create --name tencounter
- docker 컨테이너가 메모리만 차지하고 실행되지 않은 상태, 실행 대기
docker start tencounter
- 컨테이너가 실행된다.
docker logs [컨테이너명]
- 컨테이너의 로그 조회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