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학습목표
- 객체지향의 의미
- 장점
객체지향 - 다형성
역할과 구현을 분리
예시 1 - 자동차
자동차 역할이 있다.
구현 - 아반떼, K3, 테슬라 모델 3
운전면허를 가진 사용자는 아반떼를 타다가 k3를 타도 새로 공부를 할 필요가 없다. 운전을 하던 대로 하면 된다. 자동차의 종류가 어떤 것 인지는 중요하지 않다.
예시 2 - 공연(로미오와 줄리엣)
로미오 역할과 줄리엣 역할이 있다.
구현 - 로미오, 줄리엣을 공연하는 사람
로미오와 줄리엣 역할을 연기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가 그 역할을 하던지 중요하지 않다.
다른 예시
- 키보드, 마우스, 세상의 표준 인터페이스들
- 정렬 알고리즘(어떤 알고리즘을 사용하던 중요 X) - 기능만 똑같다면 더 나은 성능의 알고리즘으로 교체해도 무관하다.
- 할인 정책 로직
정리
- 역할과 구현으로 구분하면 세상이 단순, 유연, 변경도 편리해진다.
-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(인터페이스)만 알면 된다.(사용방법)
-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를 몰라도 된다.(엔진이 어떻게 구동이 되나 어떻게 자동차가 움직이나)
-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.(엔진차인지 모터차인지)
-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 자체를 변경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.(차종이 변경되어도)
자바의 객체지향(역할과 구현을 분리)
- 자바 언어의 다형성을 활용
- 역할 = 인터페이스
- 구현 =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, 구현 객체
-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과 구현을 명확히 분리
- 객체 설계 시 역할(인터페이스)을 먼저 부여,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
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
- 혼자 있는 객체는 없다.
- 클라이언트: 요청, 서버: 응답
- 수많은 객체 클라이언트와 객체 서버는 서로 협력 관계를 가진다.
클라이언트의 요청을 해결하는 게 응답이다. return 값이 없을 수도 있다.
다형성의 본질
-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.
- 다형성의 본질을 이해하려면 협력이라는 객체사이의 관계에서 시작해야 함
-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,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다.
한계점
- 역할(인터페이스) 자체가 변하면, 클라이언트, 서버 모두에 큰 변경이 발생
- 자동차를 비행기로 변경해야 한다면?
- 대본 자체가 변경된다면?
- 인터페이스를 안정적으로 잘 설계하는 것이 중요
스프링과 객체 지향
- 다형성이 가장 중요!!
- 다형성을 극대화하여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.
- 제어의 역전(IoC), 의존관계 주입(DI)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한다.
- 레고 조립하듯 구현을 편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.
[자료출처]
김영한 - 스프링 핵심 원리 기본 편
728x90